top of page

도시는 실험실이고, 실험 없는 혁신은 없다.

Cities are laboratories, and there is no innovation without experiment.

표시대지 1.png

Namyangju Wangsuk1 New Town Masterplan Competition

남양주 왕숙 1신도시 마스터플랜 현상공모 당선

메인: 접근방법

APPROACH

Design + Strategy

Urban Design +

Business Strategy

우리의 일터(work), 삶터(live), 쉼터(play)를 조화롭게 담아내는 도시공간과 사업전략을 수립한다.

02.Birdeye_view.jpg

Urban Context + 

Site Identity

지역과 이웃의 맥락을 깊이 고민하고, 사이트의 개성을 담아낼 수 있는 디자인을 목표로 한다.

DMC.png

Data Science + 

3D Technology

다가올 스마트시티를 위해 새로운 기술과 데이터를 접목한 과학적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메인: 최근 프로젝트

Recent Projects

그림3.jpg
그림1.jpg
그림1.png

안양시 인덕원 컴팩트시티 조성 및 
특화방안 수립 용역 / GH

환승센터 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발사업
통합 추진 방안 검토 용역 / 한국교통연구원

3기 신도시 등 UAM 도입 연구 용역 / LH

포스트 코로나_UAM
대규모 역세권.jpg
프레젠테이션1_9.gif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LH 신사업모델 및 후보지 발굴 용역 / LH

대규모 택지지구 역세권 신사업모델 수립
및 시범지구 사업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 LH

경기 및 광역시 도심복합사업 사업계획 수립
및 지구지정 제안용역 / LH

그림2.jpg
%EC%9A%A9%EC%9D%B8%20%ED%94%8C%EB%9E%AB%
보행이 즐거운 신도시 조성방안, 사이트랩

용인 플랫폼 시티 특화방안 / GH

복합용지와 상업용지 가이드라인 연구  / LH

보행이 즐거운 신도시 조성방안 / GH

갈매2.png
00501098_20180528.jpg

구리갈매2 브랜드뉴시티 / LH

​남양주 왕숙신도시 UCP / LH

​창동상계 창업 및 문화단지 / SH

2555F3485501A3853A.jpg
1800_2218_1045.jpg

​전주역세권 특화계획 및 개발전략 / LH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추진전략 / LH

​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 보성건설

메인: 팀 소개

Team Members

김현무대표이사2.jpg

김 현무   Kim, Hyun-moo

대표이사   CEO

기술력으로 승부하고 기술로 인정받고 기술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도전정신으로 사이트랩을 설립했다. 
주요 프로젝트 : 베트남 하이퐁, 영암해남 기업도시, 남양주왕숙신도시 등

조용진 공동대표.jpg

​조 용진   Cho, Yong-jin

공동대표   ​CTO

20년간 신도시 마스터플랜, 도시마케팅, 사업추진전략을 수행했다. 지금은 urban fabric, 3D 조닝, 스마트시티 복합개발에 관심이 많다. 
주요 프로젝트 : 동탄2신도시, 광교신도시, 판교테크노밸리 등

연정민 대표 복사.jpg

연 정민   Yeon, Jeong-min

공동대표   ​CFO

오랜 기간 서울연구원에서 대도시권 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사이트랩의 재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쾌적하고 스마트한 연구환경과 시너지 넘치는 조직 구축을 위해 노력중이다.

%25EB%25B0%25B1%25EC%2598%2581%25EC%25A4

백 영준  Paik, Young-Jun

소장   Executive director

주요 신도시 토지이용·지구단위·경관계획 및 도시재생, 행복주택 기본구상, 친수공간 마스터플랜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주요프로젝트 : 판교신도시, 경남진주혁신도시, 부산에코델타시티, 아라뱃길 마스터플랜 등

%25EC%259C%25A0%25EB%25B3%2591%25EC%2584

유 병성    Yoo, Byung-sung

이사   Director

사이트랩에서 각종 도시개발사업의 사업추진전략, 타당성 업무, 제도 개선 등 도시전략팀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 : 세종 5-1생활권 스마트시티 사업추진전략, 국공유지 사업타당성 등

KakaoTalk_20230912_102430071_edited.jpg

이 수민  Lee, Su-Min

소장   Executive director, 건축사

도시와 건축을 접목하며, Micro부터 Metro의

범위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도시계획가로서 도시의 공백(Urban Void)과

건축가로서 도시를 채워가는 알갱이(Grain)를

디자인한다.

건축과 도시도 하나의 상품으로 생각하며,

​경쟁력 있는 상품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세영 과장_edited.jpg

남 세영   Nam, Se-Young

과장   Section Manager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했으며, 신도시 마스터플랜과 다양한 개발사업 검토 업무를 수행했다. 지금은 도시데이터에 관심이 많아 이를 활용한 도시공간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KakaoTalk_20210712_171204668.jpg

신 윤지   Shin, Yun-Ji

과장   Section Manager

조경학을 전공하고, 지자체 최초로 경관계획과 분리된 단독 경관자원조사용역 및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을 수행했다. 경관자원을 중심으로 사람의 경험과 이야기가 켜켜이 쌓이는 도시 형성에 관심이 많다.

지연희

지 연희    Ji, Yeon-Hee

과장   Section Manager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한 후,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도시설계학전공에서 공공성 관점의 도시설계방식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도시공간연구와 신도시 계획에 관심이 많다.

KakaoTalk_20230911_120410155.jpg

김 미소 Kim, Mi-So

과장   Section Manager

도시공학과를 전공하였으며 신도시 특화 계획, 지역개발 계획, 공공주택 계획, 도시재생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신도시 개발 계획에 관심이 많으며 아름다운 도시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을 수립하고자 한다.

육현정 20230427_edited.jpg

육 현정 Yuk, Hyeon-Jeong

대리   Assistant Manager

도시계획학과를 전공했으며, 졸업작품으로 서수원 이전부지 개발방안을 제안했다.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도시디자인과 전략방안에 대해 관심이 많다. 

%EC%86%A1%EC%98%81%EC%9E%AC_edited.jpg

송 영재 Song, Young-Jae

대리   Assistant Manager

​대학에서는 건축학을 전공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에서 도시의 자족성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변화하는 환경 안에서 도시 공간과 기능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EC%8B%AC%ED%9A%A8%EC%A7%84_edited.jpg

심 효진  Shim, Hyo-Jin

사원   ​Staff

도시교통공학과를 전공했으며 졸업작품으로 지역 특색을 살린 개성 있는 도시재생 패널을 제작하였다. 최근에는 재난 극복에 대한 새로운 도시 생활에 관심이 있다.

황인성.png

황 인성 Hwang, In-Seong

사원   ​Staff

도시공학과를 전공했다. 졸업작품으로 2040 고양시 기본계획을 디자인하여 한국도시계획기술사회 회장상 대상을 수상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툴을 다룰 줄 알며 이를 활용한 도시공간 시각화 작업에 관심이 많다.

하정현.png

하 정현 Ha, Jeong-Hyeon

사원   ​Staff

도시공학과를 전공했으며, 졸업작품으로 2040 고양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제안했다. 다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도시의 공간과 기능 분석에 관심이 많다.

메인 : 파트너십

Partnership Companies

(주)알에이에이피.png

알에이에이피

도시계획자동화

유일그룹로고.png

유일기업/부동산연구소

​수요조사/사업타당성/부동산개발 협력

도화엔지니어링 로고.jpg

도화엔지니어링

종합엔지니어링/

민간산업단지 협력

창조디지털프로덕션

조감도CG/브로셔/

인쇄물 협력

메인: 문의

Contact Us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1동 논현로94길 29-14

TEL 02-6227-0109

FAX 02-6227-0110

메시지가 전송되었습니다.

bottom of page